![]() |
|
내용 |
현대인은 물질적인 면에서 풍요롭고 안정된 생활을 하지만 과거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그것은 환경 변화, 인간관계, 직업, 사건사고 등 더 많은 스트레스 유발 요인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 팬데믹이 되고 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위험은 강력한 스트레스 유발인자가 되었다.
암,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등은 현대인의 3대 사망의 원인이라고 한다. 한편 전문가들은 이 3대 질병의 주요 원인이 스트레스라고 한다. 한국은 세계 어느 나라 국민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그에 따른 질병을 갖고 있다. 한국인에게 스트레스가 높은 원인은 급속한 경제 성장에서 비롯된 과도한 경쟁, 상대적 빈곤감, 물질적인 부의 집착, 사회적 지위에 대한 갈망 등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는 나쁜 것, 피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스트레스는 건설적인 면과 파괴적인 양면성이 있다. 적당한 스트레스 관리는 건강하고 진취적인 삶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요인이 되지만 잘 대처하지 못하면 고통과 질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현재 서양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스트레스 예방과 완화 프로그램이 1979년 존 카밧진(Jon Kabat-Zinn) 박사에 의해 만들어진 MBSR(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이다. MBSR은 현재 단순한 심리치유 프로그램을 넘어서서 새로운 심리학 계열의 한 학문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대 학문에서 지향하는 심리학, 상담학, 뇌과학, 요가, 명상학 등을 융합한 학문의 한 분야가 되었다. 안타깝게도 한국 서점가에 진열된 MBSR 분야의 책들은 대부분 서양 책들의 번역서이거나 수련을 위한 워크북들이고 한국인에 의해 집필된 마땅한 MBSR 교재를 찾기가 어렵다. 저자 이재영 교수는 불교명상학 박사로서 미국 MBSR 본부(CFM)에서 지도자 과정을 수료하고 현재 대학과 명상원에서 MBSR을 지도하고 있다. 저자의 MBSR 연구와 지도경험을 바탕으로 금번 MBSR 이론과 실제를 다룬 『New MBSR 이론과 실제』를 출간하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