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내용 |
전 세계적인 스테디셀러 ‘Thinking Strategically’의 최신 번역서
전략적 사고 트레이닝, 그것이 최선인가 모든 경쟁에서 이기려면 머리를 써야 한다. 당신의 전략 IQ를 높여줄 전략적 사고 트레이닝 북!!! 세계 명문대학의 ‘게임이론’ 강의를 책으로 만나보자 당신은 지금 제대로 살고 있는가? 당신의 인생 시스템을 점검하라. 당신의 삶을 승리로 이끌 전략적 사고 트레이닝, 그것이 최선인가로 당신의 두뇌를 업그레이드하라. 1. 책 소개 이 책은 톨키엔(Tolkien)의 ‘Lord of the Rings'와 같이 ‘이야기’로부터 탄생했다. 처음에는 애비너시 K. 딕시트(Avinash K. Dixit)가 프린스턴 대학의 우드로 윌슨 스쿨(Prinston's Woodrow Wilson School of Public and International Affairs)에서 가르쳤던 ‘전략 게임’에 관한 강의가 시초였다. 배리 J. 네일버프(Barry J. Nalebuff)가 이 강좌를 물려받아서 예일 대학의 정치학과와 경영대학원에 과목을 개설했으며, 이 강좌를 통해 많은 석학들이 탄생했다. 비즈니스와 정치, 인생은 게임과 같다. 한번뿐인 삶을 승리로 이끌기 위해 우리는 끊임없이 노력하지만, 승리의 월계관은 아무나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결국 헛된 수고를 줄이고, 가정과 직장, 사회의 여러 문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사고를 해야 한다. 전략적 사고란 상대가 나를 앞서 나가려는 것을 인식하고, 상대를 앞지르기 위해 기술 전략을 세우는 것을 말하며, 기업이나 영업사원들은 특히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그에 맞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정치가에게는 선거 홍보 전략이나 정책 실현을 위한 입법과 관계되는 전략이 필요하며, 축구 코치에게는 운동장에서 뛰는 선수들을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자녀를 훌륭하게 교육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부모들도 아마추어 전략가라고 할 수 있다. 직장생활이나 가정생활은 부단한 결단의 연속이다. 어떤 직업을 선택할 것인가. 회사를 어떻게 경영할 것인가. 누구와 결혼할 것인가. 자녀를 어떻게 교육시킬 것인가. 선거에 입후보할 것인가 하는 것은 중대한 결단에 속하는 인생의 여러 가지 예다. 이와 같은 상황의 공통적인 요소는 개인이 혼자 결정한다는 뜻이 아니라, 자신의 결정은 주변 사람의 결정 및 여러 가지 의미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상호 작용은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영항을 미친다. 이 책은 전략적으로 생각하는 일과 그것을 실천에 옮기는 것을 돕는 것이 목표이다. 전략적 결정을 연구하는 행동과학 분야를 게임이론이라고 부르며, 여기에서의 게임은 체스, 어린이 교육, 테니스 경기, 회사 합병, 광고, 무기 통제 등 광범위한 분야가 망라되어 있다. 중요한 것은 이 책이 여러 가지 전략에 대한 비결을 알려주기 위해 집필된 것이 아니라, 전략적 사고의 기본적 법칙을 어떻게 전개시킬 것인가를 염두에 두고 구성했다는 것이며, 전략적 사고법을 실행에 옮기는 안내서로 기능해서 독자의 전략 IQ를 높이도록 했다는 것이다. 이 책의 제1장에서는 전략에 대한 문제점이 어떻게 해서 생기는가를 짚어보며, 유효한 전략, 약간 뒤떨어진 전략, 확실하게 뒤떨어진 전략의 10가지 예를 소개한다. 제2장에서는 교대 행동게임의 ‘추론의 연속’ 상황을 나무 그림을 통해 설명하며, 제3장에서는 ‘추론의 논리적 순환’에 해당하는 동시진행게임을 절대 우위전략과 절대 열위전략 등의 예로 설명한다. 제4장에서는 죄수딜레마 해결법과 관련한 협력의 실현 방법과 배반자의 문제, 주고받기 전략 다루었으며, 제5장에서는 위협과 약속, 경고와 확언에 따른 전략 사례들을 중심으로 전략 행동의 요령 등을 살펴보고 있다. 제6장에서는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계별 전략과 주제별 전략 등을 다루었으며, 제7장에서는 예측불가능한 상황에서의 균형과 확률 등을 주제로 한 혼합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제8장과 9장, 10장, 11장에서는 전략적 상황에 대해 극단적인 전략, 투표, 유인, 교섭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증명 가능한 자료를 토대로, 깊이 있는 전략 법칙의 실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제12장에서는 이상적인 계약을 위한 인센티브제의 필요성과 의사 결정의 방법 등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했으며, 제13장에서는 비즈니스 스쿨에서 취급한 23가지의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전략적 법칙을 익히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각 사례들은 문학이나 스포츠, 영화 등 친근하고 사소한 재미있는 것들이 많지만, 핵무기 대결이라고 하는 공포스러운 것도 있다. 전자는 게임이론 연구 방법의 진수를 보여주겠지만, 후자인 핵에 대한 화제는 공포스러운 것이기 때문에 합리적인 분석은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냉전 체제가 와해되고 세계가 평화 공존을 모색하는 가운데, 우리가 게임이론적인 군비 확장 경쟁이나 쿠바 위기와 같은 문제들을 감정적 논리에서 약간 벗어나 전략적 논리에 의해 검토해 보는 것도 좋다. 특히 어떤 사례들에서는 특정 상황이 주어지고, 독자가 그 장에서 논의한 법칙을 사용해서 올바른 전략을 찾아낼 수 있는지 없는지를 테스트한다. 그 중에는 명확한 해답이 없는 것도 있지만, 그것이 인생의 현실이다. 때문에 명확한 해답이 없는 경우에는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 이 책을 다 읽고 난 독자는 경영자 혹은 스포츠 선수, 정치가, 또는 부모로서 훨씬 뛰어난 전략가가 되어 있을 것이다. 2. 목차 서문 전략적 사고란 무엇인가? 제1부 게임이론과 행동 전략 제1장 행동 전략의 10가지 예 1. 발군의 실력이란 무엇일까 2. 아메리카 컵 요트 대회의 이변 3. 죄수 딜레마에 빠지다 4. 루터와 드골의 외고집 전략은 성공일까 실패일까 5.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것인가 6. 개별 판단의 함정 7.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라 8. 혼합 전략을 세워라 9. 말도 안 되는 내기는 경계하라 10. 게임이론은 건강에 해롭다? 11. 전략의 예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12 사례 연구 1 : 적과 흑에 승부를 걸다 제 2 장 교대 행동 게임 1. 네 차례야, 찰리 브라운 2. 전략적 상호작용에는 두 가지가 있다 3. 전략 법칙 1 4. 의사 결정 나무와 게임 나무 5. 복잡한 게임에서의 선택 6. 교섭의 규칙과 전략 7. 평화는 어떻게 유지되는가 8. 영국의 정책 논쟁 9. 사례 연구 2: 톰 오스본과 오렌지 볼 미식 축구 제 3 장 동시 진행 게임 1. 절대 우위 전략 2. 타임과 뉴스위크의 커버 전쟁 3. 절대 열위 전략 4. 균형 전략 5. 균형점의 과다와 과소 6. 사례 연구 3: 매수기업의 제의 제2부 전략적 사고의 방법과 기술 제 4 장 죄수 딜레마 해결법 1. 협력은 어떻게 실현하나 2. 배반은 어떻게 가려내나 3. 배반자는 어떻게 처벌하나 4. 처벌은 보장되는가 5. 처벌은 어떻게 해야 하나 6. 주고받기 전략 7. 주고받기 전략의 대안 8. 사례 연구 4: 의회와 연방준비은행의 관계 제 5 장 전략적 행동 1. 무조건적인 행동 전략 2. 위협과 약속의 법칙 3. 경고와 확언의 방식 4. 핵 억지력 분석 5. 민주당의 정치 전략 6. 전략 행동의 요령 7. 정도를 넘어선 위협은 피해야 한다 8. 사례 연구 5: 에어버스 320의 선택 제 6 장 신뢰성 있는 언약 1. 신뢰를 얻는 여덟 가지 방법 2. 애국심 고취 전략 3. 당신이 거절할 수 없는 제의 4. 사례 연구 6: IBM에서 컴퓨터를 빌리는 것이 좋을까? 제 7 장 예측불능성 1. 확률게임의 균형 2. 테니스 선수의 확률 게임 3. 올바른 혼합전략을 세워라 4. 상대의 움직임을 예측하라 5. 최상의 혼합을 변경하라 6. 어떻게 무작위로 행동할 것인가? 7. 독특한 상황에서의 승부 8. 거짓말의 효용 9. 혼합전략의 놀라운 효과 10. 무작위 행동 전략을 세워라 11. 사례 연구 7: 전략의 과부하 12. 보충이론 : 층계 가위 바위 보 제3부 게임 이론의 전략적 응용 제 8 장 극단적인 전략 1. 왜 불확실한 위협을 가하나 2. 위험의 메카니즘 3. 위험을 관리하라 4. 극단적인 상황을 벗어나라 5. 극단적인 전략의 비극 6. 극단적인 핵전략의 위험성 7. 사례 연구 8: 대서양에서의 핵전쟁 위기 제 9 장 협력과 협조 1. 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 2. 최단 통행 경로 확보 전략 3. 키보드 사업 전략 4. 효과적인 속도위반 단속 전략 5. 인종 혼합 분석 6. 그 자리엔 아무도 앉지 못한다 7. 정치인의 올바른 위치 전략 8. 주식 시장과 미인 선발 대회 9. 요약 10. 사례 연구 9: 치과 의사 배치 방법 제 10 장 투표 전략 1. 투표는 어떤 힘을 가졌는가 2. 투표의 중립위치 3. 단순 투표 4. 법의 집행 순서에 따른 전략 5. 앞을 꿰뚫어보는 투표 전략 6. 위인이 되기 위한 전략 7. 적을 사랑해서 이기는 전략 8. 사례 연구 10: 예산 승인 분석 제11장 교섭 1. 교섭의 핸디캡 2. 상대적 손실은 어떻게 발생하나 3. 극단적인 전략과 파업 4. 동시 교섭과 개별 교섭 5. 사례 연구 11: 받는 것보다 주는 것이 낫다 6. 인내력 게임 제 12 장 인센티브 1. 노력에 대한 보상 전략 2. 합작 사업 구성 전략 3. 입찰 전략 4. 사례 연구 12: 낙찰의 위험성 제 13 장 사례 연구 1. 항상 남의 떡이 더 커보인다 2. 정부의 징병 등록 전략 3. 세 사람의 결투 4. 기업의 상어퇴치 전략 5. 방법 없이 어떻게 이길까? 6. 미식축구의 시즌 전략 7. 마지막으로 누가 살아남는가 8. 큰 나라의 노블리스 오블리제 9. 주유소의 가격 표시 10. 항만 다리의 혼잡 시간 계산 11. 공공재의 비극 12. 1달러를 차지하라 13. 리어왕의 고민을 해결하라 14. 미국 정부와 알루미늄 회사의 대결 15. 벌칙의 약속을 지켜라 16. 승부의 기술 17. 재판장의 극단적인 전략과 배심원단의 판결 18. 간섭의 자유 19. 시장을 위한 조언 20. 강도의 총기 소지 전략 21. 기부금 프로젝트 22. 재분배의 한계 23. 라스베가스 자동 도박기는 모두를 속인다 3. 저자 소개 애비너시 K. 딕시트(Avinash K. Dixit) 현 프린스턴 대학교 경제학과 석좌교수 미국 경제학회 회장 역임 미국 국립과학학술원, 인문과학학술원, 영국학사원 특별연구원 폰 ․ 노이먼 경제학상 수상 불확실성에 지배되는 상황에서의 투자, 산업조직, 국제무역, 경제 관계 등을 연구했으며, 저서로는 Art Of Strategy, optimization in Economic Theory(Oxford University Press, 1976, second edition 1990), The Theroy of Equilibrium Growth(Oxford University Press, 1976) 등이 있음. 배리 J. 네일버프(Barry J. Nalebuff) 현 예일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좌교수 어네스트 티 회장 하버드 명예교우회 연구원 투자이론, 인센티브, 불완전 조건에서의 경쟁, 집단행동에 의한 선택 행동 등을 연구했으며, 저서로는 Art Of Strategy, Co-opetition, Why Not? 등이 있음. 4. 역자 소개 박주관 주요 약력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 호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 ㈜ 전략시스템 대표컨설턴트 회장(現) ▪ 마케팅아웃소싱㈜ / ㈜ Edu Star 회장(現) ▪ I Can 성공실천센터 원장(現) ▪ 시스템경영실천회 회장(現) ▪ 한국경영컨설팅학회 부회장 (前) ▪ 한국창업컨설팅협회 회장(前) ▪ 한국경영기술컨설턴트협회 연수원 교수(前) ▪ 서울산업진흥재단, 경기 중소기업진흥재단 사업성 평가 심사위원(前) ▪ 행정자치부 공기업 평가위원(前) ▪ 중소기업청 교수, 연구원 및 대학생 창업 경영대회 심사위원(前) 주요 저서 ▪성공과 부의 법칙, S=B&A ▪시스템경영혁신만이 살 길이다 ▪시스템영업 노하우 ▪듣기력(번역서) ▪돈 버는 데는 프랜차이즈 사업이 최고다 ▪벤처기업 만들어 코스닥 가기 ▪창업소프트 성공경영학 ▪청년 사장학 ▪체인사업, 당신도 성공할 수 있다 ▪사업타당성 분석과 사업계획서 작성 등 다수 방송 및 언론 활동 ▪KBS –TV ‘명사 월요 특강’출연 ▪KBS 제 1라디오‘경제전망대’. 대전 라디오 ‘835 정보센터’출연 ▪KBS 1TV ‘주부도 경쟁력이다(소자본으로 내 가게를)’ 6개월간 출연 ▪KBS 2TV ‘생활백과’, ‘추적60분’등 출연 ▪SBS ‘라디오 토크쇼’,‘밀레니엄 정보쇼’,‘김찬식의 뉴스 대행진’ 고정 게스트 ▪MBC TV ‘아침이 좋다’ 출연 ▪매경 TV ‘TV 창업 가이드’, ‘돈돈돈’ 고정 게스트 ▪조선일보 ‘창업가이드’ 고정 칼럼니스트 ▪대학 CATV ‘성공! 창업스쿨’ 전임 교수 ▪EBS TV ‘직업의 세계’,‘창업시대’고정패널 출연 ▪한국경제 ‘MONDAY’ 고정 기고 ▪삼성 사내방송 SBC 위기관리경영 특별 인터뷰 방송 |